반응형

저번 글에서 언급했던 MCP(Model Context Protocol)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해야겠다.
나도 처음에 MCP라는 말을 들었을 때 SW개발자들이 사용하는 하나의 기능 정도로 이해했고, 또 새로운게 나왔나 보다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실제 내가 사용해 보니 이건 개발자와 비개발자(일반인)의 경계를 허물 수 있는 기능이구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챗GPT부터 시작해 DeepSeek, Grok, Claude를 사용해 보고 그 후 Felo, Liner까지 추가해서 사용해 보았었다.
최근에 Deep Research기능으로 논문이나 보고서를 쓰는데 글의 대부분의 골격을 써주고 관련 근거를 찾아주고 일반적인 내용도 다 작성해 주는 것을 보고 이 정도면 보고서를 쓰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네 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한가지 아쉬운 점은 최신 뉴스나 자료, 특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결과를 받아보는 것이 안되는 점이었다.
우리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상을 살고 있고 급격한 변화 속에서 하루 하루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지 못하는 AI는 실생활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을 갖고 있던 나에게 Claude AI에서 나온 MCP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줬고, 일상 생활에서 바로 도움을 주는 협력자가 되었다.

다음 이미지는 MCP가 하는 역할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양한 서비스(Web Search, Google calendar, filesystem, youtube subtitle, stockmarket, obsidian, notion, arxiv papers, etc)를 MCP를 통해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바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은 Claude MCP 설정에 대한 기본 방법이다.


Claude MCP 설정

  • Claude App download 및 설치(컴퓨터에 설치, MCP를 사용하기 위해 클로드 PRO로 유료 전환 필요)
  • Node JS 다운로드 및 설치필수
  • MCP 패키지 설치
    • Tavily MCP - 심층 검색 도우미
    • Brave Search - 웹 검색 도우미
      • npm install -g @modelcontextprotocol/server-brave-search
    • Sequential Thinking - 사고력 확장 도우미
      • npm install -g @modelcontextprotocol/server-sequential-thinking
    • Youtube 다운로드
      • npm install -g @anaisbetts/mcp-youtube
      • winget install yt-dlp (윈도우의 경우)
    • filesystem
      • npm install -g @modelcontextprotocol/server-filesystem
  • API 키 얻기
  • Claude Desktop 설정 파일 편집하기
    • Claude Desktop App이 MCP서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 파일 편집
      • code %APPDATA%\Claude\claude_desktop_config.json
  • 로컬 파일 및 폴더 접근 권한 문제시
    •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 실행,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실행

MCP는 작년 하반기에 나온 기술로 상대적으로 새로운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올해 초 Cursor AI에 MCP가 도입되면서 개발자들 중심으로 붐업이 일고 있고 Cursor AI로 바이브코딩을 하는 것이 대세가 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새로운MCP Server도 속속 만들어지고, 기존 MCP Server들도 변화가 매우 가파르다. 나만의 데이터를 가지고 MCP에 연결해서 사용도 가능하기 때문에 조만간 개인이나 작은 그룹에서 외부 노출을 하지 않고 보안을 유지한채 로컬 AI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 많은 비개발자분들이 AI와 협력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MCP를 사용하시라 말씀드리려고 글을 썼다.

빠르게 사용해 보고 경험해 보면 AI와 협력하는 삶의 변화를 한발짝 앞서나가 만끽하실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윤대통령 탄핵 결정이 나오는 날이다. 
이제 5분후면 알 수 있다. 역사의 한장을 지켜보러 가야겠다.


점심식사 후 4일 12시 19분에, 탄핵결과에 대해 외국 뉴스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Claude AI에게 물어봤다.
아래와 같이 CNN, 알자지라, UPI에서 뉴스를 가져와 주요 내용을 보여줬다.


한국의 탄핵 결정에 관한 최신 뉴스를 전 세계 신문사에서 찾아보겠습니다.

검색 결과에 따르면, 오늘(2025년 4월 4일) 한국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결정했습니다. 여러 국제 언론사의 보도를 비교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한국 대통령 탄핵 결정 주요 내용

핵심 사실

  • 결정 일자: 2025년 4월 4일 (금요일)
  • 결정 내용: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대통령직 박탈)
  • 표결 결과: 8-0 만장일치
  • 주심 판사: 문형배 헌법재판소 권한대행

탄핵 원인

모든 언론사가 공통적으로 보도한 탄핵 원인:

  •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가 헌법 위반
  • 국가적 위기 상황이 없었음에도 계엄령을 선포
  • 국회에 군대를 파견하여 헌법기관 권한 침해

결정 이후 후속 조치

  • 한국은 60일 이내에 새 대통령 선거 실시 필요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그때까지 임시 대통령직 수행

각 언론사별 고유 보도 내용

CNN:

  • 윤석열은 한국 민주주의 역사상 가장 짧은 임기를 가진 선출직 지도자가 됨
  • 헌법재판소에 의해 파면된 두 번째 대통령 (첫 번째는 박근혜)
  • 계엄령은 단 6시간만 지속되었으며, 의원들이 국회에 강제 진입해 투표한 후 해제됨
  • 미국 동맹국의 리더십 공백이 트럼프의 "미국 우선" 정책 시행 시기와 맞물림

알자지라:

  • 문형배 권한대행은 윤석열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했으며 "헌법 수호 의무를 저버렸다"고 판결 이유 설명
  • "대통령 해임을 통한 헌법 질서 회복의 이익이 현직 대통령 해임으로 인한 국가적 비용보다 크다"고 언급

UPI:

  • 결정 직전 갤럽 여론조사 결과: 57%가 탄핵 지지, 37%가 기각 원함
  • 법원 주변 500피트 반경 "진공 상태" 봉쇄, 14,000명의 경찰관 배치
  • 윤석열은 별도로 내란 혐의로 4월 14일 형사재판 예정
  • 공중 비행금지구역 설정 및 북한에 대한 감시 작전 강화 조치
  • 아시아 전문가 션 킹: "한국은 중요한 시기에 실질적으로 지도자가 없는 상황"

역사적 맥락

  • 윤석열은 이전에 스타 검사로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수사의 주요 인물이었음
  • 자신이 수사했던 대통령과 같은 운명이 됨
  • 한국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대통령직을 박탈당한 두 번째 대통령

대부분의 해외 언론은 이번 사건을 한국 민주주의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국제 무역 및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더십 공백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가 "친북 반국가 세력"에 대한 보호라고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정치적 반대파를 억압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각자 알고 싶은 사항이 있으면 최신 뉴스나 정보를 검색해서 답변을 받도록 하면 좋은 결과를 받을 수 있다.

모두 AI를 잘 활용하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장 성능이 좋은 5090이나 4090을 구입하면 좋겠지만, 가격이 너무 넘사벽이라 조금이라도 가성비 있는 GPU이면서 그래도 내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를 구성해 보기로 했다.

컴퓨터 본체는 작년 말에 한번 업그레이드를 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한 1060TI를 대신할 수 있는 GPU만 교체하려고 한다.
그래서, 부담되는 가격이지만 그래도 질러볼 수 있는 GPU를 비교해 보니 RX9070XT와 RTX5070TI가 눈에 들어왔다.
만약 내가 게임을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면 RX9070XT를 구매할 수도 있었겠지만, 집에서 AI를 공부하기 위한 목적이 크기 때문에 엔비디아 GPU를 선택하기로 결정했다.

내가 직접 비교 검색하는 것보다 AI에게 비교 분석을 요청하여 보았다.
그냥 물어보니 방금 출시한 RX9070XT와 RTX507TI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비교를 할 수 없다고 나온다.
하지만 최근에 데스크탑용 Claude AI에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붙이면서 최신 데이터를 웹에서 직접 검색하고 그 결과를 AI가 비교분석 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기능의 서버들을 MCP를 사용해 손쉽게 부착할 수 있어서 이제서야 진짜 AI Agent로써 실생활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아래 내용은 Claude AI에게 최신 정보를 찾아보고 두 카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한 결과이다.

항목 RX9070 XT RTX5070 Ti
출시일 2025년 3월 6일 2025년 2월 20일
권장소비자가격 $599(약 80만원) $749(약 100만원)
TDP 304W 300W
필요 전원공급장치 750W 750W
메모리 16GB GDDR6 (직접 찾아서 입력) 16GB GDDR7
메모리 대역폭 640 GB/s (직접 찾아서 입력) 896 GB/s
메모리 인터페이스 256비트 (직접 찾아서 입력) 256비트

* 위 소비자 가격은 달러 출시 가격이고, 실제 국내 판매 가격(싯가처럼 수시로 변동)은 다음과 같다.
   - RX9070 XT : 1,248,000 ~ 1,485,000원 (네이버 가격비교 기준) 
   - RTX5070 Ti : 1,406,350 ~ 1,830,820원 (네이버 가격비교 기준)

성능 비교

벤치마크 결과

- 전체적인 성능 차이 : RTX 5070Ti가 RX9070XT보다 평균 약 5~6% 더 높은 성능
- GeekBench 6 Compute (OpenGL) : RX9070XT(223,065) vs RTX 5070Ti(243,483) 약 9.1% 차이
- 3DMark 벤치마크 : 
  - Night Raid: RX9070XT(250,811)  vs RTX 5070Ti(252,604) 약 1% 미만 차이
  - 파이어 스트라이크: RX9070XT(68,446)  vs RTX 5070Ti(71,375) 약 4.3% 차이

게임별 성능 비교

- Rainbow Six Siege : 
  - 1440p: RX9070XT는 RTX 5070Ti보다 약 7% 느림 (두 카드 모두 300fps 이상)
  - 4K: RX9070XT는 RTX 5070Ti보다 약 6% 느림 (두 카드 모두 200fps 근접)
- Call of Duty: Black Ops 6: 
  - 1440p: RX9070XT가 RTX 5070Ti보다 22% 빠름
  - 4K: RX9070XT가 RTX 5070Ti보다 19% 빠름
- QHD 해상도 15종 게임 평균 : RX9070XT는 RTX 5070Ti보다 성능이 약 2.1% 낮음
- 4K 해상도 : 평균적으로 RX9070XT가 RTX 5070Ti보다 약 5% 낮은 성능

가성비 분석

- RTX 5070Ti의 MSRP는 $749로, RX9070XT($599)보다 약 25% 더 비쌈
- 성능은 평균 5~6% 차이로, RX9070XT가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에서 약 15% 더 우수함
- RX9070XT는 "80%의 가격으로 95%의 성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음

특징 및 기술 비교

- RTX 5070Ti : 
  -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
  - 5세대 텐서 코어 (1,406 AI TOPS)
  - 4세대 레이 트레이싱 코어 (133 TFLOPS)
  - DLSS 4 지원으로 AI 업스케일링 성능 우수

- RX9070XT : 
  - RDNA 4 아키텍처 기반
  - AMD AFMF 기술 지원

결론

1. 성능 : RTX 5070Ti가 평균적으로 약 5~6% 더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게임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 특히 Call of Duty와 같은 일부 게임에서는 RX9070XT가 더 높은 성능을 발휘
2. 가격 : RX9070XT가 약 $150(20만원) 더 저렴하여 가성비 측면에서 우수
3. 선택 기준 :
   - 순수 성능만 고려한다면 RTX 5070Ti가 우세
   - 가격 대비 성능을 중시한다면 RX9070XT가 더 합리적인 선택
   - 레이 트레이싱 성능을 중요시한다면 RTX 5070Ti가 더 적합
   - AMD 플랫폼을 선호하거나 특정 AMD 최적화 게임을 주로 플레이한다면 RX9070XT 고려


위와 같이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로컬로 AI 사용하는데 더 적합한 그래픽 카드를 분석해 달라고 했다.
그 결과 RTX 5070 Ti가 로컬 AI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더 적합하다고 하며 그 이유를 아래와 같이 분석해 주었다.


로컬 AI 성능 비교 요소

1. AI 가속기 (텐서 코어)
- RTX 5070Ti : 5세대 텐서 코어 탑재, 1,406 AI TOPS(초당 1조 4천억 연산) 성능 제공
- RX9070XT : 전용 AI 가속기 사양이 상대적으로 제한적, 정확한 AI TOPS 수치 미공개

NVIDIA의 텐서 코어는 AI 연산에 최적화된 전용 하드웨어로, 특히 행렬 연산과 같은 딥러닝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블랙웰 아키텍처의 5세대 텐서 코어는 이전 세대보다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2. 메모리 사양
- RTX 5070Ti : 16GB GDDR7 메모리, 896GB/s 대역폭, 256비트 인터페이스
-  RX9070XT : 메모리 사양 미확인(GDDR6 추정)

AI 모델은 대용량의 파라미터를 메모리에 로드해야 하므로, 더 큰 용량과 빠른 메모리 대역폭이 중요합니다. RTX 5070Ti의 GDDR7 메모리는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여 대규모 모델 처리에 유리합니다.

3. AI 소프트웨어 생태계
- NVIDIA : CUDA, TensorRT, NVIDIA AI Enterprise 등 성숙한 AI 개발 툴킷과 라이브러리 제공
- AMD : ROCm 플랫폼은 CUDA에 비해 지원되는 프레임워크와 모델이 제한적

NVIDIA의 CUDA 생태계는 TensorFlow, PyTorch, ONNX 등 거의 모든 주요 AI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며, 최적화 도구도 풍부합니다. ROCm은 개선되고 있지만 호환성과 최적화 면에서 아직 격차가 있습니다.

4. LLM 및 생성형 AI 최적화
- RTX 5070Ti : TensorRT-LLM, NVIDIA ACE 등 LLM 최적화 기술 지원
- RX9070XT : 비슷한 수준의 LLM 최적화 기술 부족

로컬에서 LLaMA, Mistral, Stable Diffusion 같은 생성형 AI 모델을 실행할 때 NVIDIA의 최적화된 라이브러리가 더 나은 성능과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실용적 고려사항

1. 모델 호환성 : 많은 로컬 AI 애플리케이션(LM Studio, ComfyUI, Ollama 등)이 CUDA를 기본으로 설계되어 있어 NVIDIA GPU에서 더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2. 전력 효율 : AI 워크로드에서 RTX 5070Ti는 더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보이며, 장시간 모델 실행 시 중요한 요소입니다.

3. 가격 대비 AI 성능 : RTX 5070Ti가 25% 더 비싸지만, AI 성능은 그 이상의 차이를 보여 AI 워크로드에서는 가성비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결론

로컬 AI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할 계획이라면 RTX 5070Ti가 확실히 더 나은 선택입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추천됩니다:

  1. 전용 AI 가속기(텐서 코어)의 뛰어난 성능
  2. 더 넓은 메모리 대역폭으로 대규모 모델 처리 능력 향상
  3. 성숙한 CUDA 생태계와 폭넓은 AI 라이브러리 지원
  4. 생성형 AI 및 LLM 모델을 위한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

다만, 순수 게이밍이나 일반 작업이 주 목적이라면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RX9070XT도 충분히 고려할 만한 옵션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내가 알고 싶은 내용을 쉽고 빠르게 찾고 분석해서 보기 쉽도록 제공해 주는 AI 어시스턴트가 실제 활용 가능한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할루시네이션이 아직 존재하겠지만, 실제 데이터(웹 또는 각종 논문 등의 자료)를 찾아보고 알려주기 때문에 직접 창작?하는 것은 많이 줄었다고 본다.

다음에는 내가 갖고 있는 분야의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실험을 해봐야겠다.


그럼 모두들 AI와 함께 좀 더 생산적인 하루를 보낼 날을 맞이하길 바랍니다.

반응형

'파이썬으로 할 수 있는 일 > IT기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DR-1ABT 사용기  (0) 2015.07.02
반응형

나이가 들어가면서 몸에 이상 신호가 많이 나타난다.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아마도 피가 탁해지고 혈액 순환이 젊을 때와는 다르게 느려지고 그로 인해서 각종 성인 질환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아직 고혈압, 고지혈증은 아니지만 거의 그 근처에서 몇년째 헤매고 있는 것 같다. 
2024년 건강검진에서 고혈압 초기일 수 있으니 운동, 건강 식단으로 바꾸는 것에 대해 신경쓰라고 연락을 받았다.
그리고, 2016년부터 콜레스테롤 수치도 정상범위를 벗어나 있어서 경고를 받고 있는 중이다.

운동을 꾸준하게 열심히 하면 좋겠지만 실제 생활 속에서 운동에 매진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는 않은 것 같다. 아침에 가끔 30분 조깅 또는 실외 걷기 등을 하고 저녁에 턱걸이 등을 조금 하는 것이 대부분의 생활 패턴이 되어서 더 그런 것 같다. 
그래도 운동 대신 주말에 쉬지 않고 목공 diy, 제품 만들기를 중심으로 몸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근육 손실은 많이 완화가 된다고 본다. 더 큰 문제는 식사습관에 있는 것이 아닐까?
난 아이스크림, 맛있는 과자, 빵 등을 많이 먹었다. 젊을 때야 문제가 없지만, 지금은 당류 중심의 탄수화물 섭취는 몸에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당류를 먹은 날과 콩, 달걀 중심의 건강식을 먹은 날은 분명 몸 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벌써 아침 식사를 하지 않고 방탄커피를 마신지도 3년이 넘었다. 이걸로 충분히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점심과 저녁 식사, 그리고 중간 중간 간식을 곁들이다 보니 몸 상태가 좋아지질 않고 서서히 나빠지는 것이다. 
그래서, 노년 건강 관련 책들을 읽어 보고 내 식이 습관들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책들 중에서 저속노화 식사법은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식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실천하기 쉽게 되어 있고, 나처럼 게으른 사람들을 위해 쓰여진 책이라 추천한다. 

6개월 전 한약으로 다이어트를 해서 10KG 넘게 감량하고 몸이 개운하고 가벼워졌었는데, 얼마전까지 다시 6~7KG이 찌면서 몸 상태가 안좋아지고 있는 시점이었다. 이 책에서 제시한 저속노화 식사법을 따라하니 다시 몸무게가 내려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몸에 있던 염증도 줄어들고, 최근 나를 괴롭히던 안 질환도 서서히 나아지고 있다. 먹는 것의 중요성을 새삼 느끼게 된다.

오늘 저녁에는 대학 친구 아버님 장례식장에 가야한다. 
이미 많은 친구들 부모님들이 소천하셨지만, 아직 건강하게 잘 살고 계신 분들도 있다.
앞으로 우리 나이대의 사람들은 더 많은 사람들이 천수를 누리지 않을까? 
오래 사는 것이 행복할까? 언젠가 모든 사람은 죽는다. 가끔 그 죽음을 앞둔 사람으로서 두려운 마음과 함께 허무함을 느끼게 된다. 나도 모르게 삶이 무의미하지 않은지에 대한 의심이 드는 것이다. 
그때마다 난 인문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대학 때 치열하게 삶과 죽음에 대해 나름의 개똥철학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서, 스스로에게 대답한다. 언젠간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지만, 살아 있을 때 순간 순간 최선을 다하며 사는 것과 별 생각없이 살거나, 삶의 덧없음에 허무함에 굴복하고 삶을 포기하며 흐지부지 사는 것... 그 중에서 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나은 길은 무엇인지에 대해 나는 알고 있다고 믿는다.

그 믿음을 잊지 않도록 젊을 때 나 스스로를 달금질했다고 생각하기에 무너지지 않고 하루 하루 열심히 살아나갈 수 있음에 인문학의 힘이 있지 않을까? 

내가 살고 있는 삶은 젊을 때보다 조금 더 희망없어 보이고, 사람들간의 관계도 한올 한올 끊어지는 실가닥처럼 나풀거리고 있다.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좌절하거나 절망하는 것이 아니라고 믿는다. 난 죽는 날까지 하루 하루 내가 하고 싶은 일에 집중하고 노력하면서 살아갈 것이다. 

언젠가 내가 호흡하지 않을 시점이 올 때, 스스로에게 말하리라. 나 최선을 다해서 살아왔고, 후회하지 않는다라고...

그런 삶을 살기 위해 '저속노화 식사법'을 실천하고자 한다. 
건강한 몸에 건강한 마음이 깃들 수 있다고 믿기에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 자수를 시작하고 나서 윗실과 밑실의 장력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것이 작업한 자수의 퀄리티를 좌우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윗실과 밑실의 장력을 어느 정도 유지해야 하는지 검색도 해보고 실제 작업을 통해 익혀가는 과정에 있다.
그런데 원단 종류와 자수실 종류에 따라 장력도 변화한다는 것이 실제 작업을 하면서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동일한 종류의 실인데도 불구하고, 색상에 따라 약간씩 텐션이 다른 경우도 있었기에 텐션 조정이 끝났다고 생각하고 자수실을 교체하면 결과물 차이가 발생해서 멘붕이 빠지기도 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으니 지금까지 겪은 경험을 남겨 보도록 한다.

난 컴퓨터 자수에 있어 초짜이기 때문에 원단이나 자수실, 바늘에 대해서 잘 모르고 저녁과 주말에만 작업을 하기 때문에 체화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사전에 최대한 많은 정보를 찾아보기 위해 유튜브를 중심으로 검색해 보았다.
일단 윗실과 밑실의 장력을 측정하는 기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알리에서 구매하였다.
제품은 Towa의 디지털 게이지라고 한다.

다른 제품들은 밑실 보빈 장력만 측정할 수 있는데, 위 제품은 밑실과 윗실 장력 모두를 측정할 수 있어서 구매했다.

이 제품의 가격은 100달러 내외라 1330원이었던 올 8월말에 구매해서 비싸다 생각했었는데, 현재 환율(1400원대)을 생각하면 더 착하지 않은 가격이 되었다.
내가 갖고 있는 타지마 자수기 메뉴얼을 보면 윗실 장력은 120~130 정도, 밑실 장력은 20내외로 적혀 있었다(지금 메뉴얼이 없어서 기억을 더듬어 본거라 한자리 오차는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측정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유튜브를 보니 밑실 장력은 25~35gF로 설정하고, 위실 장력은 150 정도로 맞추는 사람과 80이 적당하다는 사람도 있었다. 물론 기계가 다르니 장력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어떤게 정답인지는 알지 못하겠다.

그래도 가장 중요한 원칙은 밑실과 윗실 장력의 균형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한쪽이 강하거나 약하면 깨끗하게 자수가 마무리되지 않는다.

밑실과 윗실 장력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 하여 진행했다.

https://youtu.be/ClrSf6PnoS4

위 유튜브에서 알려준 방법대로 I자를 14개 만들어 각 실별 장력을 조사해 보니 내 자수실들의 장력은 윗실이 좀 더 타이트하게 되어 있었다.

그래서, 약간 윗실 장력을 줄여서 전체 자수실의 장력을 낮춰서 맞추었다.

그래도 웨빙끈처럼 원단 실이 굵고 뻣뻣한 곳에서는 윗실과 밑실 장력과는 별개로? 자수실이 옆으로 엇나가거나 올이 풀리는 등의 오동작이 자주 발생한다. 결국 윗실의 장력을 좀 더 세게 하고 자수기 속도를 줄여서 운영해야 조금 퀄리티를 높게 제작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디지타이저라고 본다. 자동으로 만들어진 글씨는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특히 한글은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컴퓨터의 한글 폰트를 자수 전용 폰트로 변경해주고 원하는 모양으로 일일히 변경하는 방법을 찾고 있는데 아직까지 정확하게 원하는 폰트를 구하지는 못하고 있다. 지금은 한글을 디지타이저 글씨로 만든 후 모양이 이상한 글씨를 쪼개서 수동으로 다시 제작하고 있다. 그렇게 글씨가 많지 않으니 가능한 방법이다. 

혹시나 해서 클로드 AI한테 웨빙끈에 자수하는 것에 대해 물어보았다. 
나보다 정리를 더 잘해서 말해준다.
앞으로 잘 활용해 봐야겠다.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수에서 보풀이 생기거나 바늘이 엇나가는 현상은 대부분 실의 장력과 안정성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특히 웨빙끈과 같이 두껍고 탄력 있는 소재에서는 더욱 신경 써야 할 부분들이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조정 사항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장력 조절:
밑실의 장력은 보빈케이스에서 조절나사를 이용해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전으로 보빈을 들어올렸을 때 천천히 내려오는 정도가 적절한 장력입니다. 웨빙끈의 경우 일반 원단보다 약간 더 강한 장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윗실의 장력은 보통 3-5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좋으나, 웨빙끈의 두께와 경도에 따라 4-6으로 약간 높여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테스트 자수를 놓아가며 미세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정성 확보:
1. 심지 사용: 웨빙끈 아래에 일회용 부직포 심지를 받치면 안정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심지는 자수가 끝난 후 제거할 수 있습니다.
2. 프레임 고정: 웨빙끈을 프레임에 고정할 때 팽팽하게, 그러나 너무 과도하지 않게 조절합니다. 지나치게 팽팽하면 오히려 자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바늘과 실의 선택:
1. 바늘 크기: 웨빙끈용으로는 75/11 크기의 바늘이 적합합니다. 무거운 웨빙끈의 경우 80/12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실의 두께: 웨빙끈의 두께와 글씨 크기에 맞는 적절한 두께의 실을 선택합니다. 너무 가는 실은 끊어지기 쉽고, 너무 두꺼운 실은 바늘구멍에서 마찰이 심해집니다.

디자인 최적화:
1. 글씨 크기: 웨빙끈의 폭에 비해 너무 작은 글씨는 피합니다. 보통 웨빙끈 폭의 50-70% 정도 크기가 적당합니다.
2. 스티치 밀도: 글씨의 스티치 밀도를 약간 낮추어 바늘이 같은 곳을 과도하게 뚫지 않도록 합니다.

속도 조절:
자수기의 속도를 평소보다 20-30% 정도 낮추어 운영하면 보풀 발생과 바늘 엇나감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글씨의 방향이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서는 더욱 중요합니다.

이러한 조정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면서 테스트 자수를 통해 최적의 상태를 찾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설정을 찾기는 어렵지만, 점진적인 조정을 통해 원하는 품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자수 폰트 제작에 대해 좀 더 알아봐야겠다. 
디지털로 만드는 작업은 그래도 착착 맞아 떨어지는데, 컴퓨터 자수는 원단과 자수실, 장력 등 고려해야 할 것이 많고 배워야 하는 디지타이저(펀칭)도 있어 아직 한참은 해야 좀 편안하게 느껴질 것 같다.

반응형

'컴퓨터 자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자수에 대해  (6) 2024.11.26
반응형

회사원으로 살아갈 때는 내가 직접 생산할 것이 디지털로 만들어진 데이터이거나, 보고서였기 때문에 직접 만질 수 있는 제품들을 만드는 것은 취미의 영역이었다.
하지만, 요즘은 디지털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아날로그 제품들을 만드는 것이 무척 재미있고 실제 시간을 더 들여서 배우고 있는 분야가 되었다. 
목공도 배우고, DIY를 하면서 필요한 레이저 각인기도 다뤄보고, 3D프린터도 만져보았다. 그러다가 최근에는 컴퓨터 자수에 관심을 갖고 시작하게 되었다.
네이버에서 '컴퓨터 자수기'를 검색해 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이 브라더 자수기이다. 일반 가정용 자수기도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접근하기 쉽고 그나마 가장 널리 알려진 컴퓨터 자수기가 브라더 자수기인 것 같다.

위의 검색 리스트 처럼 가격이 그렇게 저렴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자수기로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려는 사람들이 아닌 일반 개인들이 취미용으로 구입하기에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일단 브라더 자수기 관련 카페에도 가입하고 분위기를 살펴보니 우리나라는 컴퓨터 자수기 시장이 매우 작고 방산시장에 조금 밀집되어 있을 뿐이었다. 그리고, 대부분 타지마, 썬스타 등 전문가들을 위한 자수기를 다두기(머리가 4~20개) 중심으로 갖추고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일본이나 미국, 호주 등은 좀 더 발달된 시장 형태를 갖춘 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아직 개화되기 전이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이미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어서 소규모 제작자가 들어가기 어려운 시장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전체적인 시장은 차차 알아가기로 하고

부라더 자수기는 중고로도 많이 팔리고 있고, 자수기 파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디지타이저(다른 말로 펀칭') 프로그램인 PE11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런데, 해외 유튜브와 관련 분야 전문가분들의 블로그를 살펴보니 부라더 자수기와 프로그램은 처음 시작할 때 많이 사용하지만 나중에 더 전문적인 기계와 프로그램으로 넘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는 중복 투자를 하지 않기 위해 부라더는 안보고 바로 상위 제품들을 찾아보기로 했다.

자수기는 타지마와 썬스타에 문의해 보았다. 
답변이 타지마에서 왔고, 그래서, 타지마를 구매하기로 했다. 예전 환율이 850원대로  낮았을 때 구매했어야 했는데... 이 부분은 아쉽다. 

프로그램도 알아보니 가격이 매우 비싸다. 윌컴(Wilcom)과 윙스(Wings)가 제일 고가의 제품들이었는데, 윙스는 사람들이 과거에 많이 사서 사용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윌컴은 호주 회사 같던데, 가장 글로벌하게 많이 사용하는 제품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너무 비싸다...

그래서, 윌컴에서 취미 또는 소호로 디지타이징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해치3를 구매하기로 했다.
블랙프라이 시즌에 맞춰서 1099달러에서 799달러로 할인행사를 하기에 이 제품을 구매했다.

앞으로 컴퓨터 자수 관련한 정보를 정리해 봐야겠다. 관심있는 사람들이 많이 없어서 그런지 우리 말로된 정보가 너무 적다. 내가 찾아보고 알고 있는 것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최대한 찾아보고 정리해 봐야지.

반응형

'컴퓨터 자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자수실 장력(Tension) 유지하기  (0) 2024.12.16
반응형

수리를 위해 구입한 재료가 도착하여
주말에 수리를 하려고 하였다.

어떻게 기존 소켓을 제거하고 새로운 소켓으로 교체할 것인가 고민하다가, 최대한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자고 생각했다.
그래서, 소켓 플라스틱 부분을 돌려서 먼저 빼보기로 했다.

플라이어를 사용해 플라스틱 부분을 잘 잡고 한바퀴 돌리니 플라스틱이 조금 깨지는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약간의 부스러기가 떨어졌다. 
그런데, 플라스틱 부분이 잘 돌아간다. 
그리고 소켓 윗 부분이 아래처럼 빠졌다.
접착제로 붙인 것 같은데, 그 부분만 약간 깨지고 다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양호한 상태였다.

오호, 이런 방법이 있으면 좀 알려주지...
그럼, 다른 재료를 안사고 바로 고쳐서 사용했을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래 부품들은 다른 곳에 써야겠군.

아래 사진을 보면 끊어진 실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번에는 좀 강한 실을 두 줄로 조명 스위치 끈을 만들었다.
스위치 끈을 잘 연결하고 다시 조립하니 다시 예전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혹시 나처럼 이 제품을 다시 살리고 싶은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이렇게 수리 후기를 남겨 본다.
이케아에서 수리 교환은 불가라고 해도 이렇게 고칠 수는 있다고 간단한 팁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다.

아래 사진은 플라스틱 돌릴 떄 떨어진 부스러기 플라스틱(5조각)이다. 

그럼 이만! 

2024.11.11 - [DIY 정보] - 이케아 뉘포르스 조명 스탠드 수리

반응형

'DIY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케아 뉘포르스 조명 스탠드 수리  (2) 2024.11.11
Synology Note Station 단축키  (2) 2024.06.17
반응형

예전에 이케아에서 한창 물건 살때 샀던 탁상 스탠드 조명이 있는데, 브랜드 명이 뉘포르스라고 한다.
탁상 스탠드는 상품이 없어졌고, 지금은 거실에서 사용하는 플로어 스탠드 모델만 판매하고 있다.
디자인이 만족스러워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조명 스위치 끈이 끊어져 버렸다. 
그래서, 끈을 수리하려고 하니 일체형으로 만들어져서 수리가 불가능했다.
이케아 상품평에서도 보면 끈이 끊어지면 수리도 안되고 부품 교환도 안된다고 한다. 그 이유는 본체의 일부로, 부품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른 이케아 스탠드에 비해 가격이 좀 나가는 스탠드이고, 고급감이 있어 만족하던 제품이라 그냥 버리기에는 많이 아깝다.

스위치 끈은 질긴 나일론 재질이 아니라 면이 섞인 재질처럼 보이고 딱봐도 강도가 좋아 보이지 않는다. 일체형으로 만들려면 나일론처럼 정말 질긴 끈을 사용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수리나 부품 교환이 안되니, 버려야 하는데....
너무 아깝다. 그래서, 수리할 방법을 모색 중이다.
어제 분리할 수 있는지 자세히 봤는데, 분리는 안될 것 같고 목 부분을 잘라내야 할 것 같다.
전구 끼우는 부위 바로 아래를 잘라내고 전구 소켓을 다른 것으로 달면 어떨까 생각했다.

그럼, 어떻게 소켓 교체를 해야할까?
먼저 무식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용접을 생각해 보자.
깨끗하게 용접을 하고 그 부위를 소형 그라인더로 잘 갈아내면 좋겠지만, 나한테는 티그 용접기가 없다. 논가스 용접이나 아크 용접으로는 이 작은 부위에 정밀 용접을 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들어 용접은 일단 보류한다.
그 다음으로 무슨 방법이 있을까 고민해 보다가 알리를 검색해 봤다.
그래서, 속이 뚫린 M10(10mm) 규격의 금속 튜브를 발견했다. 그리고 이것과 호환되는 조명용 소켓도 찾았다.
일단 블랙프라이데이 시작과 함께 주문했다. 부품이 배송되면 그때 제작을 시작해야지.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7364475478.html?spm=a2g0o.order_list.order_list_main.10.324c140fuI3Mlj&gatewayAdapt=glo2kor

 

금속 중공 나사산 튜브, 아연 도금 LED 램프 헤드 링크, 고정 베이스, 지지대 로드, 조명 액세서리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일단 지금 생각으로는 위 사진의 소켓 바로 아랫부분을 절단하고, 아래 사진의 금속 튜브를 어떻게 결합하면 좋을지 방법을 찾아보려고 한다.
1. 안에 넣을 수 있다고 판단이 되면, 내부에 탭을 내서 결합을 하도록 한다.
2. 만약 어렵다면 이 금속 튜브와 절단한 목 부위를 용접으로 접합한다.

부품이 배송되고 수리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도록 할께요!
혹시 나처럼 무모한 수리를 하려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알리 링크도 남깁니다.

더 좋은 수리 방법이 생각나시는 분이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https://ko.aliexpress.com/item/32975684577.html?spm=a2g0o.detail.0.0.5590eeU2eeU2lT&mp=1&_gl=1*3euhi*_gcl_aw*R0NMLjE3MzEyODU2NjEuQ2p3S0NBanduZWkwQmhCLUVpd0FBMnh1QmhuZE8zYUw1X0lkUzl6UUM5Y1YyWmNRMTZ1bTRIUzhuSmh2T2VQcDlnZlhFcS1IVnZEVzBob0NxLVVRQXZEX0J3RQ..*_gcl_au*OTU5OTg0NTgxLjE3MjQwNDM5ODA.*_ga*Mzk0MTQ5ODE3LjE3MjQwNDM5ODE.*_ga_VED1YSGNC7*MTczMTI4NTY2MC40OC4xLjE3MzEyODU2NzAuNTAuMC4w&gatewayAdapt=glo2kor 

 

IWHD 테이블 펜던트 조명용 플라스틱 피팅 소케 E27 램프 전구 홀더, 110-220V Douille E27 E14 소켓, 레트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반응형

'DIY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케아 뉘포르스 조명 스탠드 수리(완료)  (0) 2024.11.25
Synology Note Station 단축키  (2) 2024.06.17
반응형

요즘 여러 앱들을 사용해 정리하던 글들을 Synology Note를 사용하는 것으로 일원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글을 쓰다가 문단을 나누고, 머리말을 쓰거나 하면서 단축키가 있으면 더 편할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성 화면에서는 확인할 수 없길래 Synoloy 홈페이지에서 살펴보니 단축키가 나와 있더군요.

그래서, 좀 더 빠른 글쓰기를 위해 이곳에 한글로 정리해 봅니다.

먼저 화면 구성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왼쪽에 보이는 것이 메뉴 패널입니다.
- 즐겨찾기 : 즐겨찾기로 등록한 항목(노트, 노트북, 태그)을 표시해서 자주 찾는 항목을 쉽게 찾도록 도와줍니다.
- 할일 목록 : 별표 표시된 작업, 기한이 지난 작업, 오늘 마감인 작업, 향후 7일 이내 마감되는 작업을 볼 수 있습니다.
- 메모 : 여기에 모든 메모와 공유 메모가 표시됩니다.
- 메모장 : 여기를 클릭하면 작성한 노트를 그룹화된 메모장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습니다.
- 스마트 메모장 : 클릭하면 지정된 기준에 맞는 노트가 표시됩니다.
- 태그 : 작성한 노트의 모든 태그를 표시합니다.

 Note Station에서 사용하는 단축키

메뉴/브라우저 패널에서

단축키 기능
Ctrl + N 메모 작성(Chrome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Ctrl + Alt + L 노트 링크 복사
Ctrl + Shift + M 메모 이동
Ctrl + Alt + T 태그 추가
Ctrl + Shift + F 찾기
Ctrl + S 동기화
Ctrl + Shift + I 메모 정보 표시
Delete 메모를 휴지통으로 이동
Ctrl + Alt + Enter 프레젠테이션 모드
Ctrl + Alt + 8 즐겨찾기에 추가/제거
Ctrl + Shift + E 메모 암호화/복호화
Ctrl + Shift + T 메모의 할일 목록 열기(Chrome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Ctrl + P 인쇄
F1 DSM 도움말 열기

노트 패널에서

단축키 기능
Ctrl + Z 실행 취소
Ctrl + Y 다시 하기
Ctrl + X 자르기
Ctrl + C 복사
Ctrl + V 붙이기
Ctrl + Shift + V 텍스트로 붙여넣기(Mac 클라이언트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Delete 삭제
Ctrl + A 모두 선택
Ctrl + F 모든 노트 검색
Ctrl + G 다음 찾기
Ctrl + Shift + G 이전 찾기
Ctrl + L 왼쪽 정렬
Ctrl + E 중심 정렬
Ctrl + R 오른쪽 정렬
Ctrl + J 단략 정렬
Tab 들여쓰기 늘리기
Shift + Tab 들여쓰기 줄이기
Ctrl + Shift + > 글꼴 크기 늘리기
Ctrl + Shift + < 글꼴 크기 줄이기
Ctrl + Shift + Up 윗첨자
Ctrl + Shift + Down 아래첨자
Ctrl + Shift + B 글머리 기호 목록
Ctrl + Shift + O 번호 매겨진 목록
Ctrl + K 링크 삽입/수정
Ctrl + Shift + R 링크 제거
Ctrl + Shift + Enter 링크 열기
Ctrl + B 볼트체
Ctrl + I 이탤릭체
Ctrl + U 밑줄
Ctrl + T 취소선(Chrome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Ctrl + Shift + H 문구 강조(하이라이트 칠하기)
Ctrl + Shift + - 수평선 삽입(문단 분리할 때 사용)
Ctrl + Shift + C 체크박스 삽입
Ctrl + Shift + Spacebar 서식 지우기
Alt + Shift + 1 [제목 1] 적용
Alt + Shift + 2 [제목 2] 적용
Alt + Shift + 3 [제목 3] 적용
Alt + Shift + 4 [제목 4] 적용
Alt + Shift + 5 [제목 5] 적용
Alt + Shift + 6 [제목 6] 적용
F2 노트 이름 필트에 포커스를 둠
F3 태그 필드에 포커스를 둠

생각보다 단축키가 일반적이고 많아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상용 노트 앱을 사용하다가, Synology를 도입하고 나서 Note 앱을 사용해 보니 조금 부족한 듯 보여도 충분히 여러 곳에서 정보를 취합하고 글을 쓰는데는 부족함이 없어 보였다.

앞으로도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라 단축키를 정리해 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